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으로 이야기를 나누다

2024 년 9 월 23 일 부산 서면에서 독서 모임을 가졌다 . 이날 주제는 경주 감은사지 3 층 석답에 관련한 내용이다 . 발표자는 신라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학자이다 . 이날 우리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전문적인 내용을 빼고 대중적인 이야기를 전달했다 . 유홍준의 <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> 처럼 . 그가 독서회원들을 위해 마련한 프린트물 중 일부도 올린다 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나의 천로역정 , 감은사지 3 층석탑을 만나러 가다 1. 탑이란 ? 1-1) 탑의 의미와 시작 인도에서는 탑을 스투파 '(stopa) 라고 불렀는데 , 이것은 소리나는 대로 탐파라고 했고 , 더 줄여 탑이라고 한다 . 스투파는 유골을 안치한 무덤을 뜻한다 . 붓다는 쿠시나가라의 사라나 무 아래서 입적했고 , 시신은 화장 ( 다비 꽃 毘 ) 하여 그때 나온 유골을 여덟 부족이 가져가 근본 8 탑을 세웠다 . 기원전 3 세기 아소카왕은 부처의 유골을 전국으로 보내고 각지에 스투파 ( 탑 ) 를 세우게 했다 . 산치 언덕에는 총 세 개의 탑이 세워졌는데 그 중 가장 큰 산치 대답이 남아 있다 . 인도에서 초기의 탑은 흙이나 벽돌로 만들었는데 , 대부분 파괴되었고 현재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기원전 3~1 세기에 건립된 중인도의 산치대탑 (Sanchi 大塔 ) 이다 . 이 탑은 밑에서부 터 기대 . 복발 . 평두 산개 순으로 되어 있다 . 이 가운데 복발은 흙을 둥글게 쌓은 모양이 마치 발우를 뒤집어놓은 모양과 같아서 붙은 이름이고 , 산개는 우산 모양을 하고 있는데 고귀 한 신분을 상징한다 . 인도의 불교를 받아들인 중국에서는 맨 윗부분만 인도 탑의 흔적이 보이고 아래쪽은 고층 누각 모양의 탑을 만들었다 . 재질로는 중국은 주로 전탑을 많이 건립했고 , 한반도에서는 석탑 . 일본은 목탑을 많이 건립했다 .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초기에는 부처님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던 탑이 예배의 주 대상이 었으나 , 후대로...